
누구나 차별없이 사물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포용디자인(Inclusive Design)’. 올해 광주에서 전 세계 포용 디자인의 현재와 미래를 볼 수 있는 장이 열린다.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는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11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주제가 ‘너라는 세계 : 디자인은 어떻게 인간을 끌어안는가’로 정해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포용디자인은 사용자가 어떤 환경이나 조건에 처해있든 물건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한 디자인을 뜻한다. 둥근 문고리는 손에 힘이 약하거나, 미끄러울 때는 쓸 수 없지만, 팔꿈치로도 문을 열 수 있는 막대 모양 문고리는 포용디자인에 속한다.
‘포용디자인 전도사’를 자처하는 최수신 디자인비엔날레 총감독(미국 사바나 칼리지 오브 아트 앤 디자인 학부장)은 “높고 낮음이 없는 무등(無等)의 토대에 선 광주가 포용디자인을 담을 적합한 장소”라며 “포용디자인만을 주제로 삼은 세계적인 이벤트는 이번이 처음일 것”이라고 말했다. 최 감독은 1978~1995년 대우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디자이너로 일하며 세피아, 스포티지, 카니발 등 디자인에 참여했다. 손톱이 길면 사용하기 어려운 자동차 문고리를 보고 포용디자인에 천착하게 됐다고 한다.
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30여개국의 학교와 기업 등이 참여한다. 2000년대 이후 대두된 포용디자인의 사례와 관련 연구 성과가 공개된다. 스마트 휠체어 등 포용디자인을 적용한 이동수단을 직접 타볼 수 있는 자리도 마련되고, 로봇과 인공지능(AI)과 결합한 포용디자인의 미래도 볼 수 있다. 패트리샤 무어, 라마 기라우 등 세계적으로 저명한 디자이너들이 참여하는 심포지엄도 열릴 예정이다. 국내외 학생들이 모여서 72시간 동안 과제를 수행해내는 ‘포용디자인 챌린지’도 진행되며, 광주지하철에 포용디자인을 반영하는 프로젝트도 열린다.
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오는 8월말부터 11월에 열릴 예정이다.
'문화는 이렇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20일]‘세계유산 못질 사태’ 또 없도록…정부 ‘문화유산 촬영 지침’ 마련 (0) | 2025.03.29 |
---|---|
[3월19일]작별하지 않는 기억들…‘제주 4·3사건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눈앞 (0) | 2025.03.29 |
[3월19일]김병기가 그들을 불렀다, 1965년 상파울루에서, 그리고 지금 (0) | 2025.03.29 |
[3월19일]‘양주 회암사지 유적’ 세계유산 우선등재목록 선정 (0) | 2025.03.29 |
[3월18일]태안 ‘천리포수목원’ 설립 기록물, 국가등록문화유산 된다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