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청사 전경.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올해 중소기업 제품 공공구매 예산의 70%인 2조2000억원을 상반기 내 집행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6일 중소기업 경영활동 안전망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올해 상반기 중소기업 제품 공공구매를 신속집행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시 올해 공공구매 목표 총액은 3조1619억원으로 지난해 목표(2조8859억원)보다 10% 늘어났다. 지난해 실제 총 공공구매엑은 약 3조59억원이었으며, 중소기업제품을 의무 구매 비율(50%)보다 높은 75% 구매했다. 서울시는 “올해는 중소기업 제품 구매 추진실적을 분기별로 점검·공유하고, 자치구 및 투자출연기관 등을 대상으로 한 홍보·구매도 독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중소기업의 매출채권보험료도 1곳당 최대 500만원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매출채권보험은 기업이 거래처에 물품이나 용역을 외상으로 판매한 뒤 대금을 회수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는 것이다. 매출채권보험에 가입한 중소기업은 거래처의 당좌부도, 폐업, 회생·파산 절차 개시 신청 등이 발생했을 때 1년 동안 발생한 매출채권의 최대 80%까지 보상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에 이어 예산 총 15억원을 투입하기로 했고, 이 중 10억원은 상반기에 지원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서울시는 지난해 기업 1160곳에 보험료 23억3000만원을 지원했고, 65개사는 보험금 3억3540만원을 받았다.

서울시는 수출보험 보증료도 기업당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역시 예산 15억원을 투입할 예정으로, 상반기에 10억원 이상 지원하는 게 목표다. 지난해 수출액이 3000만달러 이하인 서울 소재 중소기업은 누구나 수출보험, 수출신용보증, 환변동보험 등 13종의 상품을 신청할 수 있다. 지난해 서울시가 기업 3173곳에 지원한 보험료는 총 25억원이고, 기업 62곳은 보험금 83억8000만원을 받았다.

Posted by 윤승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