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현대경제연 ‘경제적 행복지수’
ㆍ“대졸자 심각한 취업난 반영”… 50·60대 행복지수는 높아져
ㆍ“복지 재원은 부자 증세” 최다

40대 남성의 행복지수가 가장 낮고 대졸 학력자가 고졸 학력자보다 더 경제적으로 불안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이 7일 발표한 ‘경제적 행복지수’ 조사 결과를 보면 그동안 행복지수가 가장 낮았던 50대, 60대 이상의 행복지수는 크게 오른 반면 40대의 행복지수가 가장 낮게 나왔다. 고졸자의 행복지수는 45.0, 대졸자의 행복지수는 43.8이었다. 

‘경제적 행복지수’는 개인이 소득, 자산, 평등도 등 경제적 요인에 대해 느끼는 만족과 기쁨을 조사해 수치화한 것이다. 이번 행복지수는 지난달 11~19일 20대 이상 성인 812명을 전화설문해 측정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대졸자의 행복지수가 고졸자보다 낮게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과거 조사에서는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행복지수도 높았다. 김동열 현대경제연구원 정책연구실장은 “처음 나온 결과이기 때문에 장기적 추세라고 예단할 수는 없다”면서도 “대졸자와 고졸자 간 처우 차이가 과거에 비해 줄어든 반면, 대졸자의 취업난이 심각해진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학원 졸업자의 행복지수는 49.5로 저학력자들에 비해 높았지만, 직전 조사인 지난해 상반기(52.9)보다는 줄었다.

연령별 행복지수 추세도 과거 조사와 달랐다. 50·60대의 행복지수가 오른 것에 대해 연구원은 “지난해 7월 기초연금 확대 지급이 고연령층의 행복감을 증가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여전히 50대와 60대 이상은 ‘경제적 행복을 가장 가로막는 요인’으로 ‘노후준비 부족’을 꼽았다. 20대는 ‘일자리 부족’, 30대는 ‘주택 문제’, 40대는 ‘자녀 교육’을 각각 가장 큰 문제로 생각했다. 복지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한 재원 마련 방안으로는 ‘부자 증세’를 선택한 사람이 41.3%로 가장 많았다. 남성보다는 여성이, 기혼자나 이혼자보다는 미혼자가 더 경제적으로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른 행복지수는 전문직이 가장 높았고 이어 공무원, 직장인, 자영업 순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행복지수 평균값은 44.5로 최근 세 차례 조사에서 연이어 올랐다. 반면 자신의 경제 상황이 앞으로 나아질 것으로 예상하는지를 측정하는 ‘미래 경제적 행복 예측지수’는 최근 세 차례 조사에서 연이어 하락했다. 행복지수의 6개 세부 항목 중에서는 사회의 경제적 평등도를 측정한 경제적 평등지수가 27.6으로 가장 낮았고, 물가·실업률에 따른 불안감을 측정한 경제적 불안지수도 33.1로 낮았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대졸 이상 고학력층의 경제적 행복감이 하락하고 경제적 불안감·평등감이 낮아진 것을 감안한다면 고용 안정성은 늘리고 소득 격차는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Posted by 윤승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