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인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가 고종황제로부터 하사받은 것으로 알려진 ‘나전산수무늬삼층장’이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국가유산청은 배재학당역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나전산수무늬삼층장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한다고 25일 밝혔다.
나전산수무늬삼층장은 선교사 아펜젤러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 보관하다 아펜젤러의 외증손녀 다이앤 크롬이 2022년 배재학당역사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다.
삼층장은 1800년대 이후 왕실과 상류층 사이에 유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왕실의 자녀가 분가하거나 출가할 때 준비하는 생활필수품이었다. 민속문화유산이 된 나전산수무늬삼층장은 19세기 말 궁중과 상류층이 쓴 삼층장의 양식을 보이며, 경남 통영 가구의 전형적인 특징을 띄고 있다.
정면 전체와 양쪽 측면은 산수문과 산수인물문(자연경관과 인간의 모습을 함께 묘사한 것)을 위주로 문자, 꽃, 과실, 귀갑문(거북이 등껍질처럼 겹친 육각형으로 연결된 무늬) 등 다양한 나전 무늬로 장식돼 있다. 정면에 설치된 문짝 6개 안쪽엔 과석화훼도(괴상한 모양의 돌과 화초가 그려진 그림)가 장식했다.
상단부는 천판의 돌출부는 짧게 하고 앞면 전체의 구조를 판재처럼 가공하는 통영 지역 제작 양식으로 만들었다. 전통 나전 기술도 종합적으로 보여 전통가구 연구자료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 19세기 말 대한제국 황실과 서양 선교사들의 관계를 보여주는 동시에, 비슷한 크기와 제작 양식을 갖춘 삼층장이 극히 희소하다는 점도 유산으로 가치가 높다.
국가유산청은 이날 전북 고창 성송면 하고리 삼태마을숲도 국가지정자연유산 천연기념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하고리 삼태천을 따라 800m에 걸쳐 형성된 숲은 국내 최대 왕버들 군락지로 높이 10m, 줄기 둘레 3m가 훌쩍 넘는 왕버들 95그루를 포함해 버드나무, 팽나무, 곰솔, 상수리나무, 벽오동 등 다양한 나무 224그루가 숲을 이루고 있다.

'문화는 이렇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25일][책과 삶]멸종 예정된 존재, 인류…유일한 가능성은 ‘우주’ (0) | 2025.09.27 |
---|---|
[9월24일]박서보가 쓴 원고, 첫 자서전으로 전 세계 동시 출간 (0) | 2025.09.27 |
[9월23일]우리가 알던 미술관이 사라졌다…그 빈 자리에서 보는 전시는? (0) | 2025.09.27 |
[9월22일]그림이 움직인다…나는 어디에 서서, 무엇을 보고 있는가 (1) | 2025.09.23 |
[9월22일]가을밤 경복궁에서 궁중 음식과 산책을…‘경복궁 별빛야행’ 응모 24일 시작 (0) | 2025.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