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공모 앞두고 관심 폭발

BTS는 디지털 싱글 ‘다이너마이트’ 발매를 앞두고 지난달 21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제공

 

거대 팬덤 바탕으로 콘텐츠 파는 ‘위버스’ 가입자 860만명
BTS 매출 의존도 높고, 작은 악재에도 주가 요동칠 수도

방탄소년단(BTS)을 향한 뜨거운 관심이 이제 K팝 팬들에게서 투자자들로 옮겨붙었다. BTS 소속사 빅히트엔터테인먼트가 다음달 유가증권시장 상장과 공모주 청약을 앞두고 있어서다. 공모주 청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데다 글로벌 팝스타의 반열에 오른 BTS를 키워냈다는 점만으로도 빅히트의 기업가치에 거는 기대가 크다.

빅히트는 BTS의 거대한 팬덤을 바탕으로 플랫폼 사업에까지 영역을 넓혔다. 네이버·카카오 같은 대형 플랫폼의 지위도 꿈꾸고 있다. 다만 아직 플랫폼의 경쟁력을 입증하기엔 시간이 필요하다는 지적과 함께 BTS 의존도가 높다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분석도 있다.

■ 팬덤과 세계관, 매출의 비결

2000년대까지만 해도 아이돌 가수들을 키우는 기획사는 공연과 방송을 통해 음반 판매량을 늘려 매출을 올렸다. 그러나 음반 판매가 저조해지면서 공연 및 관련 상품·서비스 수익이 기획사의 매출로 연결됐다. 관건은 얼마나 많은 팬덤을 확보하느냐, 그리고 그들의 지갑을 얼마나 열 수 있느냐에 달렸다.

2013년 데뷔한 BTS는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면서 팬덤을 전 세계로 확장시켰다. 여기에 빅히트가 나서 BTS에 독특한 ‘세계관’을 부여했다. BTS는 멤버마다 가상의 캐릭터가 있고, 음반마다 멤버별 상징물이 있다. 이는 BTS를 새로이 알게 된 팬들이 세계관을 이해하기 위해 BTS의 과거 음반과 상품을 구매하는 현상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팔린 BTS의 음반 622만장 중 30%가 넘는 195만장은 막 출시된 ‘신보’가 아닌 ‘구보’다. 박성호 유안타증권 연구위원은 “팬들이 스토리라인에 몰입하게 되면서 다양한 상품을 소비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BTS는 코로나19 확산 전인 지난해 전 세계에서 130만명의 입장객을 모아 공연 티켓 수입으로만 1억7030만달러(약 2000억원)를 올렸다. 전 세계 가수들 중 5위였다. 올해는 코로나19로 오프라인 공연이 없어졌으나, 비대면 공연이 흥행하며 매출의 새 길을 열었다.

빅히트에 따르면 지난 4월 이틀간 온라인에서 무료로 진행된 BTS의 방방콘서트에는 최대 동시접속자 220만명이 몰렸고, 관련 상품 수익은 372억원에 달했다. 6월 유료로 열린 방방콘서트 수익은 티켓값과 상품 판매 등을 합해 298억원이었다. 기획상품 및 콘텐츠를 바탕으로 한 ‘아티스트 간접참여형 매출’ 비중은 지난해 전체 매출 가운데 45.6%에서 올해 상반기 48.8%로 증가했다.

방탄소년단(BTS)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위버스’의 한국어 배우기 콘텐츠. 홈페이지 캡처

 

■ ‘플랫폼’ 강조하는 빅히트

BTS 글로벌 팬덤의 힘을 바탕으로 성장한 빅히트는 상장을 앞두고 이달 초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면서 플랫폼 ‘위버스’를 강조하고 있다. 빅히트의 자회사 비엔엑스가 만든 플랫폼 ‘위버스’는 팬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가수의 소식을 영상 등을 통해 접하면서, 동시에 관련 상품들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해놓았다. BTS뿐 아니라 빅히트가 최근 기획사를 인수하면서 휘하에 둔 세븐틴, 여자친구 등 아이돌그룹 채널까지 위버스에 추가됐고, 가입자 수는 지난해 말 260만명에서 올해 8월 기준 860만명까지 늘었다.

BTS의 6월 유료 방방콘서트뿐 아니라 빅히트가 자체적으로 제작한 BTS 예능 프로그램도 위버스를 통해 유료로 방영됐다. 기획사들이 자사 연예인을 활용한 상품과 콘텐츠를 제작하는 게 최근 흐름인데, 빅히트는 플랫폼에도 영역을 넓혔다. 지인해 한화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위버스는 자체 플랫폼이라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를 바탕으로 빅히트는 수익성을 강조하며 공모가를 최고 13만5000원으로 산정했다. 비교 기업으로 SM·JYP·YG 등 국내 주요 기획사뿐 아니라 네이버·카카오 등 대형 온라인 플랫폼기업을 둔 결과다. 기관투자가들의 수요예측을 통해 오는 28일 공모가가 재산정될 예정이나, 빅히트의 공모가는 현재 3만~5만원대인 다른 기획사들의 주가보다 높다.

■ 빅히트 기업가치의 변수

관건은 플랫폼의 실제 영향력이다. 한 자본시장 관계자는 “빅히트의 온라인 매출이 올해 늘어난 것은 맞지만, 지난해 문을 연 플랫폼의 수익성이 뛰어났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고 말했다.

여전히 빅히트 매출에서 BTS가 차지하는 비중이 80%가 넘는다는 점, BTS 멤버들 모두 병역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도 변수다. 기획사의 주가가 연예인 사건·사고에 따라 쉽게 요동친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YG엔터테인먼트의 경우 2018년 한 해 동안 글로벌 플랫폼 매출 증가로 주가가 65% 올랐으나, 그해 말부터 불거진 ‘버닝썬 사태’ 여파로 이듬해 상반기 주가가 약 40% 하락했다.

소속 연예인과 거액의 재계약을 맺은 뒤 회사 매출이 감소할 가능성도 있다. 다만 BTS 멤버 7명은 최근 빅히트 최대주주인 방시혁 대표이사로부터 총 1.3%의 주식을 증여받았다. 공모가 주당 최저액(10만5000원)을 적용할 경우 약 500억원 규모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빅히트가 2024년으로 예정된 BTS 재계약 후 매출 감소를 막기 위한 방법으로 주식 증여를 택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Posted by 윤승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