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는 “‘사회가 변화했으면’하는 마음으로 한 일들이 있다. 당시에는 효과가 없는 것 같은 절박함이 드는데 시간이 지났을 때 변화한 것들이 생겼다”고 말했다. 성동훈 기자

 

“동물 사회에서는 ‘1인자’가 남들에게 나눠줍니다. 지난 10여 년간 관찰한 우리 사회는 가진 자들이 너무 거머쥐려고 하는 게 보이더군요.”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는 14일 서울 종로구 한 식당에서 연 에세이 <최재천의 곤충사회> 기자간담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생태·동물행동학자, 사회생물학자이면서 저서와 강연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피력해 온 최 교수는 2013~2021년 각계에서 연 강연 등을 바탕으로 이번 책을 펴냈다.

그는 “사회적 화두인 양심과 공정, 경쟁과 협력에 대한 사유를 담았다”고 소개했다.

최 교수는 “동물사회 연구에서는 ‘불평등 이론’이 많이 연구됐다”며 “우두머리 수컷이 (동물 집단) 권좌에 오를 때는 대개 동맹을 맺어 다른 수컷들을 진압한다. 알파 메일(Alpha Male) 즉, 으뜸 수컷이 (권좌에) 등극하자마자 자기 것만 챙기면 금방 다른 수컷들이 기회를 본다”고 말했다.

이에 동물사회는 대부분 일인자가 다른 수컷들이 불평하지 않을 수준의 것들을 나눠준다.

최 교수는 “배분해야 권력이 유지된다는 것을 오랜 진화 역사 통해서 알았을 것”이라며 “인간은 너무 혼자 많이 쥐려는 경향이 있다. 가진 자들이 갖지 못한 자들에게 나눌 줄 알아야 오랫동안 자기가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모르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 같이 인간 사회를 생태계에 빗대 설명하는 것이 ‘자연주의적 오류’라는 세간의 지적에 대해서는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예시를 드는 게 훨씬 힘이 세다. 자연의 예를 들어 인간 사회의 시사점을 부각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며 “사회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기에 (비유는) 여전히 할 만한 일”이라고 말했다.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는 “‘사회가 변화했으면’하는 마음으로 한 일들이 있다. 당시에는 효과가 없는 것 같은 절박함이 드는데 시간이 지났을 때 변화한 것들이 생겼다”고 말했다. 성동훈 기자

 

호주제 폐지 운동 등 사회 운동에 목소리를 내온 최 교수는 “‘사회가 변화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한 일들이었다”며 “당시에는 효과가 없는 것 같은 절박함이 드는데 시간이 지났을 때 변화한 것들이 생겼다. 이것이 대한민국 국민의 힘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한국 사회의 부족한 점 중 하나가 마주 앉아서 얘기할 줄 모르는 것”이라며 “제일 못하는 분들이 여의도(정치권)에 계시질 않느냐”고 꼬집었다. 학교에서 토론을 배우지 못하는 한국의 교육 환경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100여권의 책을 쓴 최 교수는 “전 국민에게 토론 학습을 좀 하자는 책을 썼다”며 “토론의 ‘토’가 ‘두들길 토(討)’자라서 서로 말꼬리 잡고 두들기기만 하는 것 같다. ‘깊이 생각하며 얘기하자’는 뜻에서 ‘숙론’이라는 단어를 만들어 책 이름으로 정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정부가 기술개발(R&D) 예산을 대폭 삭감하고 기후 위기 대응에 미온적인 데도 쓴소리를 남겼다.

그는 “1994년에 미국에서 귀국할 때만 해도 ‘한국도 기초과학에 투자하는 날이 오겠구나’라고 생각했지만 아직도 오지 않았다”며 “우리나라 국가 전체 R&D 예산이 30조원 정도인데, 하버드대 기부금 총액이 50조원이 넘는다. 정부는 국가총생산(GDP) 대비 R&D 예산 비율을 자랑하지만 예산 액수를 대폭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환경 관련 연구소에서 기후위기 대응책을 내놔도 정부에서 이행하지 않아 ‘기후 깡패’ ‘기후 얌체’라는 평가를 듣는다”며 “저는 한국이 ‘기후 바보’라고 생각한다. 국민도, 기업도 기후 위기에 대응할 준비를 하는데 정부가 도와주지 않는 것 같아 걱정이 많이 된다”고 말했다.

Posted by 윤승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