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인정전 ‘강남춘의도 병풍’ 등
‘궁중서화’ 상설전시실서 11일부터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이 최근 새로 단장을 마친 지하 1층 ‘궁중서화’ 상설전시실에서 창덕궁 인정전 ‘일월오봉도 병풍’과 ‘강남춘의도 병풍’을 11일부터 공개한다고 10일 밝혔다. 두 작품은 보촌 처리 후 이번 상설전시실 개편에 처음 공개된다.
‘일월오봉도’는 해와 달, 다섯 산봉우리, 소나무, 파도치는 물을 묘사한 그림으로 왕의 집무 공간이나 행차하는 장소마다 놓인 그림이다. 창덕궁 인정전에 놓였던 일월오봉도 병풍은 2016~2021년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에서 보존처리를 마친 후 이번 상설전시실 개편에 처음으로 공개된다. 이 병풍은 일제강점기 이후 1964년 창덕궁 인정전을 복원할 때 걸려있던 것이기도 하다.

‘강남춘의도 병풍’은 중국 양쯔강 이남 지역인 강남의 봄 풍경을 상상해 그린 병풍이다. 이 병풍은 고궁박물관이 2022년 구입한 후 보존처리를 거쳐 이번에 처음 공개된다.
상설전시실에는 역대 왕들의 어필각석과 현판도 새로 전시된다. 어필각석은 왕의 친필을 단단한 돌에 새긴 것이고, 현판은 왕의 친필을 널조각으로 제작한 것이다. 조선 헌종이 선대 왕들의 인장을 수집하고 정보를 모아 간행한 문예서인 <보소당인존>도 전시된다. 보소당은 헌종의 당호이며, 그가 수집한 인장은 ‘보소당 인장’으로 불린다. 이는 1900년 덕수궁 화재로 대부분 소실됐으나 고종 때 다시 모각(그대로 본떠 새김)돼 이것이 전해지고 있다.
상설전시실에는 미디어 콘텐츠도 새로 공개된다. 중국 고대 전설을 그린 ‘요지연도’ 속 서왕모의 연회에 초대받은 신선들의 담은 영상이 전시 도입부에 설치돼 있다.

'문화는 이렇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11월12일]“유네스코가 중시했던 종묘 ‘신성성’···142m 건물로 해쳐선 안돼” (0) | 2025.11.13 |
|---|---|
| [11월10일]‘바다의 경주’ 태안에서 또 고려 선박 흔적 확인…마도4호선은 육지로 (0) | 2025.11.13 |
| [11월9일]‘귀멸의 칼날:무한성편’, 국내 일본 영화 흥행 역대 1위 등극 (0) | 2025.11.13 |
| [11월9일]한국의 김환기, 미국의 고틀리브···그림으로 나눈 뉴욕의 대화 (0) | 2025.11.09 |
| [11월9일]재개발로 세계유산 취소된 리버풀처럼 될라···‘종묘뷰 142m 빌딩’에 커지는 불안 (0) | 2025.11.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