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미술 경매시장에서 자주 호명되는 이름 중에 우관중(1919~2010)이 있다. 2016년 홍콩 소더비경매에서 약 350억원에 낙찰된 ‘저우좡(周庄)’을 비롯해 수백억원대 작품을 여럿 남겼다. 문화·예술이 탄압받던 ‘문화대혁명’을 비롯해 중국의 근현대사를 온몸으로 겪은 이력, 유화와 수묵화, 추상화를 오가는 실험정신이 더해져 그에게 ‘중국 현대미술의 거장’이라는 평가가 붙은 결과다.

지난 25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 개막한 전시 ‘우관중 : 흑과 백 사이’는 우관중의 그림으로만 채워진 국내 첫 전시다. 그의 그림이 국내에 전시된 적은 있으나 개인전은 처음이다. 오는 9월26일 공식 개막하는 문화 예술 교류 축제 ‘홍콩위크 2025@서울’의 일환으로 우관중의 그림을 다수 소장한 홍콩예술박물관이 이번 전시를 공동주최했다. 공식 개막 직후에는 공연이 주로 예정됐는데, 약 3개월간 진행될 이번 전시가 일찍 문을 열었다.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 진행 중인 ‘우관중 : 흑과 백 사이’ 전경. 예술의전당 제공

 

전시에 공개되는 작품은 17점으로 규모는 크지 않으나 우관중이 70대가 된 이후 불태운 작품 세계를 느끼기엔 충분하다. 우관중은 20대 후반부터 프랑스 파리 국립 고등 예술학교에서 3년간 유학한 뒤 귀국해 교편을 잡다 1964년 문화대혁명을 맞닥뜨려 파리에서 그린 그림을 스스로 파기했다. 1972년쯤 겨우 그림을 다시 그릴 수 있었으나 미술 도구를 소똥 바구니에 담아 사용하며 조롱을 받기도 한다. 그 때문에 그의 귀국 후 첫 전시는 59세이던 1978년, 문화대혁명이 끝난 후에야 열렸다.

이후 그의 작품 세계가 조명받으며 영국 대영박물관에서의 1992년 개인전을 비롯해 파리, 홍콩, 싱가포르 등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2003년 중국 정부로부터 평생 공로상을 받았지만, 숨을 거둔 2010년에도 가족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그림을 그렸을 정도로 활동이 왕성했다. 그의 사망일인 2010년 6월25일에도 홍콩예술박물관에서는 우관중의 당대 최신작 4점을 기증받기로 했다는 기자회견이 열렸을 정도였다. 전시 작품 중에는 마지막 기증작 4점 중 하나인 ‘둥지’도 포함됐다.

우관중의 ‘두 마리 제비’(1981). 예술의전당 제공

 

 

우관중의 ‘강남회상’(1996). 예술의전당 제공

 

이번 전시의 유일한 1980년대 작품인 ‘두 마리 제비’(1981)는 중국 강남 지방의 한 건물을 그린 우관중의 대표작이다. 나무보다 높은 흰 벽에는 가늘고 긴 출입구가 검게 그려져 있다. 많은 여백 속에서도 드러나는 수평과 수직구조는 수평·수직선으로 나눈 공간에 여러 색을 채운 피에트 몬드리안의 추상화를 연상케 한다. 종이에 먹으로 그린 그림이 서양의 20세기 초 추상화와 맞닿은 것이다. 1996년 작품인 ‘강남 회상’은 ‘두 마리 제비’와 비슷한 모습을 하지만 더욱 단순화돼 더욱 추상화에 가깝다. 하지만 그림 오른쪽 위에 하늘을 나는 제비 두 마리가 추상의 벽을 허문 듯 날아들며 현실감을 불어넣는다.

유화인 ‘여주 고향’(1998)과 수묵화인 ‘먹물의 바다에서 정신을 가다듬다’(1995)도 흥미롭게 대조를 이룬다. 둘 다 검은 바탕에 오이·수세미를 닮은 식물 여주 형태가 하얗게 나타나 있다. 유화에서는 검은 바탕에 흰 물감을 써 표현한 것이 수묵화에서는 주변부에 먹을 쓰는 것만으로 표현했다. 우관중이 비슷한 시기에 다양한 표현방식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쓴맛이 나는 여주라는 식물을 그리며 굴곡졌던 자신의 운명을 되돌아봤던 우관중의 태도 또한 느낄 수 있다.

우관중의 ‘여주 고향’(1998). 예술의전당 제공

 

우관중의 ‘먹물의 바다에서 정신을 가다듬다’(1995). 예술의전당 제공

 

우관중의 그림이 비싼 값에 거래되는 것과는 별개로, 그의 유족들은 그의 작품이 널리 알려져야 한다며 홍콩예술박물관 등에도 작품을 여럿 기증했다. 지난해에는 유족 측에서 홍콩예술박물관이 1억홍콩달러(약 176억원)를 기증하며 이번 전시를 포함한 해외 전시가 성사되기도 했다. 작품을 대중에게 널리 알리고자 했던 태도는 생전 우관중이 지닌 것이기도 했으며, 그것이 우관중에게 거장이라는 수식어를 안긴 요인으로도 꼽힌다. 전시는 오는 10월19일까지.

Posted by 윤승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