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수입 제품의 83% 중국 재수출…‘특별지위’ 잃으면 전략 수정해야
ㆍ한·미 통화스와프 안전판 있지만 외국인 투자자 추가 이탈할 수도

28일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연례회의 폐막식에서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안이 가결되면서 미국이 홍콩을 상대로 한 저관세 등 ‘특별무역지위’를 공언대로 보류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미국과 중국의 틈에서 눈치 보기를 할 수밖에 없는 한국 경제가 코로나19 국면에서 또 다른 악재를 안을 위험도 커졌다.

홍콩을 대중국 무역 경유국으로 활용해왔던 국내 수출기업들은 홍콩보안법 제정 이후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국 기업들이 그간 중국과 직접 거래하기보다는 자금조달이 쉽고 무관세와 낮은 법인세 등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홍콩을 대중국 무역 관문으로 삼아왔기 때문이다. 홍콩은 중국과 미국, 베트남에 이은 한국의 4대 무역 수출국이자 최대 흑자국이다. 지난해 한국이 홍콩에 수출한 금액은 319억달러, 무역흑자는 301억달러에 이른다.

2018년 기준 홍콩에서 수입한 한국 제품 중 82.6%가 중국으로 재수출됐다. 앞으로 홍콩이 특별지위를 잃고 중국의 한 지역으로 전락하면 한국 기업들도 수출전략을 전면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 특히 홍콩으로의 수출액 중 69.8%를 차지하는 반도체 등 주력산업이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보인다.

산업계에서는 홍콩보안법 제정을 계기로 격화될 것으로 보이는 미·중 갈등이 더 크고 근본적인 악재가 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 중 약 80%가 중간재라 중국의 생산과 수출에 차질이 생길 경우 한국 수출도 연쇄적으로 타격을 받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018년 미국이 중국산 제품 수입을 10% 줄이면 한국의 대중 수출액이 282억6000만달러(약 35조원) 줄어든다는 추정치를 내놓기도 했다. 특히 중국 화웨이의 생산 위축, 중국의 대미 가공품 수출 감소 등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을 반도체와 석유화학 등의 주력산업에 악영향이 예상된다.

추후 미국이 중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을 탈피하기 위해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진 ‘경제번영 네트워크’(EPN) 구상이 현실화될 경우 한국 기업들의 중국 투자나 수출 자체가 급감할 수도 있다.

실물경제에서의 악영향이 국내 금융시장으로 전이되는 상황도 우려스럽다. 대중 의존도가 높은 국내 경제 전반의 실적 악화와 정치적인 불안요소가 외국인 투자금의 추가 이탈을 야기할 수 있어서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한·미 통화 스와

프 체결 등으로 당장 국내에 외환이 부족해지는 상황은 일어나지 않을 것 같다”면서도 “외국인 투자자들이 불안감에 국내 시장 투자를 더 줄인다면, 개인투자자들이 버텨서 지수를 부양해 온 국내 증시에도 악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홍콩이 특별지위를 잃으면 홍콩에서 외화가 빠져나갈 수 있는데, 이를 막는 차원에서 홍콩 금융시장 금리가 전반적으로 오를 수 있다”며 “이 경우 국내 외환 및 자금 흐름에 교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미·중 갈등이 격해지면서 홍콩에 진출한 국내 금융사들도 시장 다변화를 과제로 안게 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홍콩 금융사들과 거래하는 국내 금융사들에게 미국 정부가 무언의 압박을 가할 가능성이 크다. 국내 금융사의 홍콩 의존도가 아주 큰 것은 아니지만, 거래를 다변화하면서 비용이 발생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아시아를 대표하는 금융 중심지로서 홍콩이 이점을 잃는다면 서울이 반사이익을 보지 않겠느냐는 희망 섞인 전망도 있지만 실현 가능성이 커 보이지 않는다.

홍콩의 대체 시장으로는 싱가포르가 떠오르는 가운데, 한국의 금융산업 수준이나 원화의 위상이 이에 못 미친다는 평가가 많다.

윤승민·남지원 기자 mean@kyunghyang.com

Posted by 윤승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