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각국 중앙은행 개발 가속도…한국은행은 내년 가동 테스트

각국 중앙은행들이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개발에 한창인 가운데 중국과 스웨덴이 시범운영 준비에 돌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연내 CBDC 구현 기술 검토를 마치는 대로 내년에 가동 테스트를 완료할 예정이다.

한국은행은 18일 낸 ‘해외 중앙은행의 CBDC 추진 상황’을 통해 CBDC 관련 연구보고서가 공개된 전 세계 14개 중앙은행의 사례를 분석했다. 대상은 노르웨이, 동카리브, 바하마, 스웨덴, 스위스, 싱가포르, 영국, 일본, 중국, 캐나다, 태국, 프랑스, 홍콩, 유럽중앙은행(ECB) 등이다. CBDC는 지폐와 주화 등 실물 법정통화를 눈에 보이지 않는 전자 형태로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화폐를 말한다. 정보기술(IT) 공룡기업인 페이스북이 지난해 ‘리브라’ 도입을 추진하며 전 세계 국경을 넘는 화폐권력으로 부상할 조짐을 보이자 각국 중앙은행이 서둘러 기술 도입에 나서고 있다.

스웨덴은 2017년부터 중앙은행 차원에서 CBDC인 ‘e-크로나’ 발행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을 정도로 CBDC 개발의 선도자 역할을 했다. 중국은 이미 대도시를 중심으로 현금·카드가 아닌 모바일 페이가 주된 결제수단으로 자리 잡은 상태다. 여기에 미국과 함께 ‘G2’로 꼽히는데도 중국 통화인 위안화의 국제경제 속 위상은 높지 않은 터라, ‘디지털 위안화’를 통해 이를 타개하려고 CBDC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각국 중앙은행들은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비대면 거래 및 결제가 더욱 확대됨에 따라 CBDC 연구와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가까운 장래에 CBDC 발행 계획이 없다고 밝혔던 미국과 일본도 관련 연구를 강화하는 추세다. 각 중앙은행은 최신 IT가 적용된 시스템 개발에 나서고 있고 중앙은행 간 또는 외부와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 2월 금융결제국 내에 디지털화폐연구팀 및 기술반을 꾸린 한은도 연내 CBDC 도입에 따른 기술적·법률적 필요 사항을 사전 검토하고 내년부터 CBDC 파일럿 시스템 구축과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당장 CBDC 발행 필요성이 높지 않아도 대내외 지급결제 환경이 어떻게 변할지 예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은은 “국내외 기술 보유 업체와 정보를 교환하고 있고 외부 기술자문단을 구성하는 등 전문가 견해도 청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osted by 윤승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