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영조 재위(1724∼1776년) 때 궁중 행사, 영조와 신하들이 지은 시 등을 기록한 8폭 병풍이 보물로 지정된다.
국가유산청은 29일 ‘근정전 정시도 및 연구시 병풍’ 등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예고했다고 밝혔다.
근정전 정시도 및 연구시 병풍은 1747년(영조 23년) 숙종의 비인 인원왕후의 회갑 때 경복궁 옛터에서 열린 비정기 과거시험 정시(庭試)와 영조가 내린 어제시(御製詩·왕이 지은 시), 이에 신하 50명이 화답한 연구시(聯句詩·여러 명이 운자(韻字)를 공유하며 함께 짓는 시)가 담겼다. 총 8폭인 병풍의 제1폭에는 정시의 모습이 담겼는데, 백악산과 경복궁 근정전, 영조가 직접 자리했음을 상징하는 어좌 등이 표현됐다. 제2폭에는 영조의 어제시가, 제3~8폭에는 좌의정 조현명 등의 연구시가 쓰였다.
이 병풍은 궁중 행사를 표현한 병풍 중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제작된 것이다. 영조가 중시했던 경복궁 옛터의 광화문, 근정전, 경회루 등이 상세히 묘사됐으며, 시를 쓴 신하들은 영조가 추진했던 탕평책의 핵심 인물들로 꼽힌다. 이 때문에 이 작품은 영조의 정치 철학과 국가 운영 방식을 시각적으로 담아낸 자료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함께 보물로 지정예고된 <자치통감> 권81~85는 1434년 만들어진 금속활자인 ‘초주갑인자’로 찍은 책이다. <자치통감>은 중국 북송나라 사마광이 편찬한 중국 역사서로, 조선에서는 1434년(세종 16년) 편찬에 착수해 1436년(세종 18년)까지 총 294권이 완료됐다.
경북 청도군 운문사가 소장한 목판 4건도 보물 지정을 앞두게 됐다.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목판은 1515년(중종 10년) 만들어진 것이다. 책은 고려 후기 승려 죽암이 편찬한 불교 의식집이다.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목판은 1588년(선조 21년) <원각경>에 해설을 더한 <원각경약소>를 토대로 조성한 목판이다. 책은 부처와 12보살의 문답을 통해 대승불교의 사상과 수행 절차를 설명한 경전이다.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목판은 1588년(선조 21년)만든 것이다. 고려 승려 지눌이 당나라 승려 종밀의 가르침을 담은 <법집별행록별요>에 자신의 사견인 ‘사기’를 붙여 저술한 책이다. <치문경훈> 목판도 같은 해 만들어졌다. 책은 송나라 승려 택현이 저술한 <치문보훈>을 원나라 승려 지현, 명나라 승려 여근 등이 증보한 것이다.
'문화는 이렇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30일]2026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총괄 예술감독에 최빛나 큐레이터 (0) | 2025.05.04 |
---|---|
[4월29일]장물로 밝혀진 보물 ‘대명률’…결국 지정 취소 공고 (0) | 2025.05.04 |
[4월27일]‘무너진’ 넝마 늘어놓던 이미래 “무너짐 이후 남는 감정들 말하고파” (0) | 2025.05.04 |
[4월24일][책과 삶] 황선미 작가의 동화 쓰기…“어린이와 더불어 사는 집 짓는 과정” (0) | 2025.04.26 |
[4월24일]조선 후기 길이 14m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국보 지정 (2)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