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올해 교통약자를 위한 보호구역을 50곳 늘리고, 방호울타리 등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을 보호구역 곳곳에 늘리기로 했다.
서울시는 17일 이런 내용의 ‘2025년 보호구역 종합관리대책’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기존 교통약자 보호구역 중 50곳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인도 및 보행로를 조성하기로 했다. 폭이 8m 이상인 도로에는 차도보다 높은 인도를 만들고, 폭이 8m 미만이거나 별도의 인도를 조성하기 어려운 도로에는 차도와 다른 색상이나 재질로 보행로를 포장하기로 했다.
교통약자 이용시설 주변을 중심으로 보호구역 50곳을 새로 정하거나 기존 구역을 확대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도록 이동 동선과 교통사고 시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적기에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방호울타리를 70곳에, 삼각뿔 모양 옐로카펫을 90곳에 새로 설치하고 40곳의 횡단보도는 노란색으로 바꾸기로 했다. 노면에 흰색이 아닌 노란색으로 횡단보도를 표시하는 것이다.
보호구역 내 기·종점안전표시, 속도제한 등 교통안전표지는 350곳에 추가 설치하고, 미끄럼방지 포장, 과속방지턱 등 도로부속시설도 100곳에 추가하기로 했다. 신호가 없는 횡단보도 중 25곳에 신호등을 새로 설치하고, 55곳의 신호등은 검은색에서 노란색으로 바꾸기로 했다. 어린이보호구역 내 황색점멸등 190곳은 적색점멸등으로 바꾼다. 황색점멸등이 있는 곳은 주의하면서 운전해야 하지만, 적색점멸등이 있는 곳에는 일시정지 후 주행해야 한다.
무단횡단 시 보행자에게 경고음을 울리는 음성안내보조신호기, 교통약자가 시간 내에 횡단보도를 건너지 못하면 녹색불 시간이 연장되는 신호등을 포함한 스마트 안전시설도 73곳에 설치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보호구역 내 불법 주정차 근절 및 과속단속을 위한 카매라도 120대 설치했으며, 초등학생들의 사고 가능성을 줄이고자 등하굣길을 동행하는 교통안전지도사도 682명 운영한다고 밝혔다.
'서울은 이랬다 > 서울시와 자치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17일]축구하려면 ‘경쟁률 5대 1’이던 관악구…축구전용구장 문 열다 (0) | 2025.02.22 |
---|---|
[2월17일]오세훈, 통합 얘기하며 “편가르기와 갈등 조장, 이재명식 정치” (0) | 2025.02.22 |
[2월17일]서울형 입원생활비 우선지원, 이동노동자에 방문노동자까지 확대 (0) | 2025.02.22 |
[2월17일][서울25]성동미래일자리주식회사, 8년만에 직원 40→235명 (0) | 2025.02.22 |
[2월16일]오세훈 “윤석열 정부 장점 계승하는 게 진짜 실용외교”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