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이신설선. 경향신문 자료사진

 

파산 위기에 몰렸던 ‘서울 제1호 경전철’ 우이신설선이 정상화 단계에 들어서게 됐다. 사업자가 새로 지정되고, 사업방식도 바뀐다.

서울시는 지난 12일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민투심)에서 ‘우이신설선 신규 사업시행자 지정안 및 실시협약’이 심의를 통과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우이신설선 사업자는 현재의 우이신설경전철㈜에서 우이신설도시철도㈜로 바뀌게 됐다. 서울시는 새 사업자와 연내 실시협약을 마치고 내년 본격적인 인수인계에 돌입할 예정이다.

강북 지역의 북한산우이역~신설동역을 오가는 우이신설선은 2017년 9월 개통해 누적 승객이 1억8000만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하루평균 수송 인원은 올해 7만5000명으로, 예측치인 13만명의 58% 수준이었다. 반면 무임승차 비율은 약 36.2%로 예측치(11.6%)의 3배가 넘었다.

우이신설선 사업자인 우이신설경전철은 파산 위기에 놓였고, 서울시는 2021년부터 사업구조와 사업자를 바꾸는 방안을 논의해왔다. 신규 사업자를 모집한 결과 지난 4월 우이신설도시철도가 평가점수 1위를 받아 우선협상대상자가 됐다. 새 사업자는 기존 관리운영사인 우이신설경전철운영㈜의 모회사인 우진산전과 서울지하철 9호선 1단계 재무적 출자자인 신한자산운용 간의 컨소시엄이다.

서울시는 우이신설도시철도와 지난달까지 30여회 협상한 끝에 기재부 민투심 심의를 받아냈다. 사업방식은 운영수입이 각종 비용을 밑돌면 서울시가 부족분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사업자가 제안한 관리운영비 218억원을 협상 끝에 201억원으로 줄였고, 5년 단위로 관리운영비를 재산정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민자경전철 최초 성과평가를 도입하고 이를 관리운영비 지급 및 재산정 때 반영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사업자와 관리운영수탁자에게 자료를 요구하고 관리운영비 운용 실태를 점검하기 위한 검사권도 갖는다.

윤종장 서울시 교통실장은 “이번 민투심 통과로 장기적인 운영 안전성을 확보했다”며 “향후 우이신설선이 강북 일대 시민의 발 역할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Posted by 윤승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