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 연휴 귀성길에 오르지 못한다면, 가족들이 귀경해 서울에서 보기로 했다면, 서울시에서 소개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문화 체험을 할 수 있다.
서울시는 올해 설 연휴인 25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서울 곳곳에서 준비하는 문화 체험 프로그램들을 소개했다.
서울의 대표 전통문화공간인 중구 남산골한옥마을과 종로구 운현궁은 설맞이 행사를 오는 28~30일에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진행한다. 남산골한옥마을에서 열리는 ‘2025 남산골 설축제 새해 꽃등’에서는 연희·국악 공연과 전통놀이·공예 체험, 떡 만들기를 할 수 있다. 운현궁은 2025 운현궁 운수대통 설맞이 행사를 연다. 떡국나눔과 새해 운세보기, 지신밟기 및 가야금 병창, 마술놀이가 선을 보인다.

종로구 서울역사박물관이 30일 오후 12~4시에 여는 ‘2025년 설맞이 한마당’에서는 푸른 뱀 키링, 새해 토퍼, 가오리연 만들기 등의 공예 체험을 할 수 있다. 널뛰기와 뿅망치게임 등 추억의 놀이도 할 수 있다.
송파구 한성백제박물관은 30일 오전 10시~오후 5시에 설날 박물관 큰잔치를 열어 소고춤, 새해덕담 카드쓰기, 복주머니 만들기, 떡·쌀강정 만들기 등 체험을 진행한다. 투호, 활쏘기, 제기차기, 윷놀이도 놀이마당에서 즐길 수 있다.
종로구 서울공예박물관은 27~30일 특별 이벤트를 연다. 박물관 소장품 중 행운과 장수를 기원하는 ‘십장생’이 그려진 소장품을 찾아 사진을 찍고 직원에게 보여주면 선물을 받는다.
종로구 광화문광장 지하 상설전시관인 ‘세종이야기 충무공 이야기’에서는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에게 새해 소원을 적는 이벤트가 열린다.
중구 서울시립미술관과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등 주요 문화시설은 설 연휴에도 문을 연다. 서울시립미술관은 ‘박광진 : 자연의 속삭임’을 진행하고 세종문화회관에서는 뮤지컬 <명성황후>를 볼 수 있다.

용산구 남산서울타워 앞 팔각정에서는 ‘빛의 연하장’이라는 주제의 빛 전시가 다음달 2일까지 열린다. LED 종이학 4000개와 한지로 특수 제작한 해치 조형물이 설치되며, 오후 5~10시에 불이 켜진다.
강서구 서울식물원에서는 겨울 전시 ‘겨울 요정이 나타났다’가 다음달 2일까지 열린다. 붉은색 포인세티아로 이뤄진 유럽풍 정원과 포토존이 마련됐다. ‘오늘 난’이라는 열대 전시도 진행돼 난초 60여종, 동남아 전통 공예품을 활용한 포토존 등이 설치된다. 서울시는 “열대 난초 중 가장 아름답고 화려하다는 ‘반다’ 28품종과 희귀난초 16품종 600여 개체를 만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식물원에서는 기획전시 ‘리듬 : 둘로 존재하는 것으로’도 열린다. 다양한 작가와 장르의 현대미술 작품을 시각·후각·촉각·청각을 활용해 감상할 수 있다.
마포구 월드컵공원 유니세프광장에서는 ‘억새풀 자연미술 전시’가 진행된다. 2013년생 뱀띠 초등학생들과 억새를 활용해 만든 억새 뱀 조형물과 새해 소원을 적어서 거는 소원 나무가 마련돼 있다. 야간에는 눈꽃, 별, 물방울 조명과 장식이 꾸며진 ‘겨울 별빛 정원’도 관람할 수 있다. 불은 오후 5~11시 켜지며 3월31일까지 상시 관람할 수 있다.
석유 저장시설이었던 마포구 문화비축기지 T1파빌리온, T6문화아카이브, 옥상마루에서는 홍범 작가의 기획전시 ‘기억의 정경 : 사라지는 유산’이 열린다.
중구 남산공원에서는 새해 소망과 다짐을 연에 실어 날리는 연날리기 체험 프로그램 ‘올 설레는 남산’이 25일과 26일, 30일 오후 2~4시에 운영된다. 공공서비스예약 홈페이지에서 신성할 수 있다.
성동구 서울숲에서는 지도를 따라 공원을 탐방하며 퀴즈를 풀고 동식물도 관찰하는 프로그램 ‘나도 서울숲 탐험가’가 열린다. 28일 오후 2~4시엔 가족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새해 소원 쓰기’ 행사도 있다. 선착순 150팀이 대나무 모빌세트를 만들고 소원을 적어 가져갈 수 있다.
강동구 길동생태공원에서는 공원을 따라 생태 보존을 위해 지켜야 할 동식물을 만나는 ‘생태공원을 함께 지켜요’ 프로그램과 나무를 찾아보는 ‘길동의 나무를 찾아라’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유니세프광장에서는 고리 던지기, 공기놀이, 나무팽이치기, 딱지치기, 윷놀이, 제기차기, 투호 등 7가지 전통놀이를 28~30일 오전 11시~오후 5시에 즐길 수 있다. 남산공원, 종로구 낙산공원, 용산가족공원에서도 28~30일 오전 10시~오후 4시에 윷놀이, 투호, 제기차기를 즐길 수 있는 민속놀이 한마당이 열린다.
서울숲과 서초구 매헌시민의숲에서도 윷놀이, 투호, 제기차기, 공기놀이 등을 가족들과 즐길 수 있는 전통놀이 한마당이 열린다. 문화비축기지 넓은문화마당에서도 25~30일 대형 윷놀이, 투호, 제기차기, 팽이치기 등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
'서울은 이랬다 > 서울시와 자치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3일]전국 시·도 중 서울시만 2년 연속 자동차 등록 대수 감소…왜? (0) | 2025.02.08 |
---|---|
[1월31일]서울시 영화창작공간, 올해는 OTT 영화·드라마 제작자도 입주 (1) | 2025.02.08 |
[1월26일]내년부터 쓰레기 직매립 금지되는데…갈수록 꼬이는 ‘마포 소각장’ 건립 (0) | 2025.01.27 |
[1월24일]면목본동에 모아타운 1656가구 들어선다 (1) | 2025.01.27 |
[1월24일]해외 직구 사이트 어린이 한복·장신구 등 9종서 유해물질 기준치 초과 (0)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