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 광흥사 응진전의 모습. 국가유산청 제공

 

조선시대 불교 건축과 사찰 운영의 변화를 보여주는 경북 안동 광흥사 응진전이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지정을 눈앞에 뒀다.

국가유산청은 광흥사 응진전을 보물로 지정예고한다고 3일 밝혔다. 광흥사 응진전은 현재 경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돼 있다.

광흥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됐다고 전해지는 사찰로, 조선 전기에는 불경 간행이 활발히 이뤄진 장소로 알려져 있다. 응진전의 창건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1647년(인조 25년) 기와 공사를 했다는 기록이 망와(지붕 마루 끝에 세우는 암막새 기와)에 남아 있어 조선 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광흥사는 1827년과 1946년 큰 화재로 주불전인 대웅전 등 전각 대부분이 소실됐으나 응진전은 사찰 중심에서 벗어나 화를 면했다. 이후 응진전은 광흥사의 중심 불전 역할을 했다.

응진전은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건물 정면의 공포(기둥머리에 나무를 짜 맞춰 지붕 무게를 받치는 부재)는 기둥 사이에도 배치돼 화려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옆면과 뒷면에는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으나, 꽃문양의 화반(기둥 사이 수평부재 위에 상부 무게를 받치는 넓은 판재)으로 장식돼 있다.

국가유산청은 “응진전의 공포는 조선 전기 양식을 계승해 중기, 후기까지 불전 건축양식의 변화를 잘 보여주는 형태를 지녀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응진전에는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경북도 유형문화유산)도 봉안돼 있다. 이는 1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예술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총 42구로 숫자도 많고 배치도 특이하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도 인정받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30일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광흥사 응진전을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Posted by 윤승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