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타미 준 나의 건축
이타미 준 지음·유이화 엮음 | 김난주 옮김 | 마음산책 | 320쪽 | 2만3000원
제주 서귀포에 지어진 수풍석 뮤지엄은 제주도에 많다는 바람과 돌, 물에서 그 이름을 땄다. 이곳을 설계한 재일교포 건축가 이타미 준(1935~2011)은 수풍석 뮤지엄 작업을 의뢰받기 전부터 돌과 자연에 관심을 쏟았다. “현대건축에 결여된 결정적인 것은 야성미와 따스함이 아닐까 합니다.” 이타미 준은 1997년 건축평론가 차기설과의 대담 중 ‘자연의 요소를 건축에 즐겨 도입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이타미 준은 “그 고장에서 생산되는 돌과 흙을 재료로 지역의 특성과 풍토에서 비롯된 전통적 기법과 역사적 비법 등을 건축에 도입하”며 야성의 건축을 해냈다. 그는 일본 홋카이도 ‘석채의 교회’와 ‘나무의 교회’를, 제주의 ‘흙의 교회’를 지으면서도 자연을 가까이하며 ‘폐허가 되더라도 빛나는 건축’을 꿈꿨다. 아테네의 파르테논신전처럼. 그는 수풍석 뮤지엄과 포도호텔, 핀크스 컨트리클럽을 설계한 뒤 “파르테논에 미치기에는 한없이 멀다”면서도 “조형의 순수성과 작가의 강인한 염원을 담은 조형 감각만은 절대 뒤지지 않기를 바랄 뿐”이라고 했다.
이타미 준은 조선의 아름다움에 관해서도 탐구했다. 일본식 예명을 썼지만 유동룡이라는 본명과 한국 국적을 지켰던 그는 “제 몸을 흐르는 피와 저를 둘러싼 환경이 그렇게 만들지 않았나”라고 했다. 그는 조선의 백자에서 “느긋하고 여유로운 형태와 풍정”을 느끼며 “자연과 더불어 사는 생활 철학”과 “온기 같은 인간미”를 읽어냈다. 조선의 건축에서는 “자연의 섭리에 따르는 경향”을 발견했다.
건축가이자 저술가였던 이타미 준이 1973년부터 2005년 사이에 쓴 글을 후배 건축가인 딸이 엮어 책이 출간됐다. 시대를 넘나들면서도 한결같던 이타미 준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문화는 이렇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9월22일]그림이 움직인다…나는 어디에 서서, 무엇을 보고 있는가 (1) | 2025.09.23 |
|---|---|
| [9월22일]가을밤 경복궁에서 궁중 음식과 산책을…‘경복궁 별빛야행’ 응모 24일 시작 (0) | 2025.09.23 |
| [9월16일]종묘 담장 기와, 취객 추정 행인에 ‘봉변’···10장 파손, 4시간 만에 복구 (0) | 2025.09.19 |
| [9월16일]보성 오봉산 용추동·칼바위, 여수 거문도 수월산 명승 지정 예고 (0) | 2025.09.19 |
| [9월14일]12년 만에 서울에서 핀 무라카미의 형형색색 꽃…미소, 그 뒤에는? (2) | 2025.09.1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