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파구 잠실동, 강남구 삼성·대치·청담동 등 서울시 국제교류복합지구 인근 아파트에 대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해제된다.
서울시는 12일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투기우려가 적은 지역을 대상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시가 13일 조정 내용을 공고하면 효력은 즉시 발휘된다.
토지거래허가제는 개발예정지 또는 투기가 우려되는 지역에 투기적 거래를 막기 위한 조치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 일정 규모 이상의 주택·상가·토지 등을 거래할 때 관할구청장으로부터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한다. 주택의 경우 2년간 실거주를 위한 매매만 허용되며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는 할 수 없다.
서울시 내 토지거래허가구역 면적은 총 65.25㎢였다. 서울시는 이 중 국제교류복합지구 인근인 강남구 삼성동, 대치동, 청담동과 송파구 잠실동에 걸쳐 총 아파트 305곳에 지정했던 토지거래허가구역 중 14곳을 뺀 291곳의 구역 지정을 해제하기로 했다. 면적으로 따지면 이 지역 14.4㎢에 걸쳐 지정했던 토지거래허가구역 중 1.36㎢만 남고 13.04㎢가 해제되는 것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달 14일 열린 ‘규제 풀어 민생 살리기 토론회’에서 “부동산 가격이 최근 2~3개월 간 하향안정화 추세”라며 “강남 지역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해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8월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실시한 결과, 단기적으로는 부동산 거래가 줄고 가격이 안정화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효과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남는 아파트 14곳은 재건축 추진 기대가 있어 투기 과열 가능성이 있는 곳이라 구역 지정을 현행과 같이 유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대치동 은마·미도아파트, 잠실동 주공5단지, 아시아선수촌아파트 등이 이에 해당한다.
서울시는 또 신속통합기획 재건축·재개발 사업지 123곳 중 정비구역 지정 후 조합 설립 인가까지 끝낸 6곳도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하기로 했다. 해제되는 지역 면적은 총 0.28㎢다. 서울시는 “사업시행자(조합)가 설립되면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안정적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다만 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동 등 주요 재건축·재개발 구역, 공공재개발 지역 34곳, 투기과열지구(강남 3구, 용산구) 내 신통기획 장소 14곳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유지하기로 했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 본부장은 “부동산시장 투기행위 발생 시에는 토지거리허가구역 재지정을 즉시 추진하는 등 엄정하게 대응해 나가겠다”며 “다른 지역에 비해 거래량이 비정상적으로 늘거나 (가격) 상승폭이 과도해 사회적 문제가 된다면 구역 재지정을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은 이랬다 > 서울시와 자치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13일]만 13세 미만 탈 수 없던 따릉이…보호자와 함께라면 탈 수 있게 (1) | 2025.02.14 |
---|---|
[2월13일]지난해 서울시 교통량 평일 995만대…가장 교통량 많은 도로는? (0) | 2025.02.14 |
[2월12일]서울형 긴급복지 생계급여, 지난해보다 2% 인상 (0) | 2025.02.14 |
[2월11일]서울시, AI 인재 연 1만명 배출…양재에 AI 산업도시 착공한다 (0) | 2025.02.14 |
[2월11일]강북 오패산 자락 노후주거지에 7500가구 숲세권 주거단지 들어선다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