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의 봄’이 한창이던 2011년 아흐메드 알 다라위(38)는 이집트 민주화의 성지 타흐리르 광장에서 민주화 시위대의 선봉에 있었다. 3년 뒤 그는 수니파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의 조직원이 돼 이라크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민주화를 꿈꿨던 이상주의자는 어떻게 IS의 전사가 됐을까. 이 과정을 파이낸셜타임스가 다라위의 가족들과 동료 운동가들의 증언을 토대로 3일 보도했다. 


2011년 이집트 민주화 시위에 참여했던 아흐메드 알 다라위는 개혁 실패 등에 환멸을 느끼고 IS의 전사가 됐다. | 파이낸셜타임스 웹사이트


다라위는 수도 카이로의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다른 형제들처럼 경찰대에서 대학 교육을 받았다. 폭력과 부패에 환멸을 느껴 경찰을 그만뒀지만, 아랍에미리트연합(UAE) 통신사의 마케팅 매니저가 돼 매달 7000달러를 벌었다.

이집트 혁명 후 분열에 환멸, 결국 이슬람 무장세력 투신

경찰로 살며 ‘개혁이 필요하다’고 느껴왔던 다라위는 2010년 민주화운동 단체에 가입했다. “가족들과 직업에 지장을 줄 수 있다”며 동료들이 만류했지만 그는 민주화운동가의 길을 걸었다. 2011년 호스니 무바라크 독재정권은 물러났다. 그러나 2012년 12월 민주화 세력이 이슬람과 세속주의로 분열돼 충돌하는 모습을 지켜본 그는 이집트의 혁명에 환멸을 느꼈다.

동료 활동가였던 야세르 알 하와리는 “지난해 7월 군부 쿠데타 이후 솔직하고 긍정적이던 다라위는 폐쇄적인 사람이 됐다”고 말했다. 비교적 온건한 성향의 다라위가 이슬람 극단주의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이때였다. 또 다른 동료 무함마드 아바스는 “다라위는 민주화 시위가 내전으로 번진 시리아를 보면서, 우리가 저 사람들을 어떻게 구할 수 있을지 항상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결국 지난 2월 “부모님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남동생에게 남긴 채 다라위는 이라크로 떠났다. 그가 숨진 이유에 대해서는 밝혀진 것이 없다. 런던정경대 중동정치학 교수 파와즈 저제스는 “(다라위는) 아랍의 봄이 주었던 희망이 어떻게 절망으로 변했는지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평했다.


Posted by 윤승민